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수령나이

국민연금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절반 이상이 연금을 받고 있고, 이들의 평균 수급액은 59만원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은 사회 노령ㆍ장애ㆍ사망 따위로 소득 획득 능력이 없어졌을 때 국가가 생활 보장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이라면 가입할 수 있는데, 수령나이가 되면 납부금액과 기간에 따라 평생 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직장인의 경우 원천징수로 국민연금을 납부하게 되므로, 짧은 기간이라도 일을 하셨던 분들이라면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국민연금 예상 수령금액(2022년 기준)

아래 표는 2022년 국민연금 예상표를 나타낸 것으로 본인이 납부한 금액에 맞춰 정확한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순번 가입기간중기준 소득월액평균액(B값) 연금보험료
( 9% )
가입기간(단위:원/월)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1 330,000 29,700 154,530 229,830 305,120 330,000 330,000 330,000 330,000
2 400,000 36,000 158,130 235,170 312,210 389,260 400,000 400,000 400,000
3 500,000 45,000 163,260 242,800 322,340 401,890 481,430 500,000 500,000
4 600,000 54,000 168,390 250,430 332,470 414,520 496,560 578,600 600,000
5 700,000 63,000 173,520 258,060 342,610 427,150 511,690 596,240 680,780
6 800,000 72,000 178,650 265,690 352,740 439,780 526,820 613,870 700,910
7 900,000 81,000 183,780 273,330 362,870 452,410 541,950 631,500 721,040
8 1,000,000 90,000 188,910 280,960 373,000 465,040 557,090 649,130 741,170
9 1,100,000 99,000 194,040 288,590 383,130 477,670 572,220 666,760 761,300
10 1,200,000 108,000 199,180 296,220 393,260 490,310 587,350 684,390 781,430
11 1,300,000 117,000 204,310 303,850 403,390 502,940 602,480 702,020 801,570
12 1,400,000 126,000 209,440 311,480 413,520 515,570 617,610 719,650 821,700
13 1,500,000 135,000 214,570 319,110 423,660 528,200 632,740 737,290 841,830
14 1,600,000 144,000 219,700 326,740 433,790 540,830 647,870 754,920 861,960
15 1,700,000 153,000 224,830 334,380 443,920 553,460 663,000 772,550 882,090
16 1,800,000 162,000 229,960 342,010 454,050 566,090 678,140 790,180 902,220
17 1,900,000 171,000 235,090 349,640 464,180 578,720 693,270 807,810 922,350
18 2,000,000 180,000 240,230 357,270 474,310 591,360 708,400 825,440 942,480
19 2,100,000 189,000 245,360 364,900 484,440 603,990 723,530 843,070 962,620
20 2,200,000 198,000 250,490 372,530 494,570 616,620 738,660 860,700 982,750
21 2,300,000 207,000 255,620 380,160 504,710 629,250 753,790 878,340 1,002,880
22 2,400,000 216,000 260,750 387,790 514,840 641,880 768,920 895,970 1,023,010
23 2,500,000 225,000 265,880 395,430 524,970 654,510 784,050 913,600 1,043,140
24 2,600,000 234,000 271,010 403,060 535,100 667,140 799,190 931,230 1,063,270
25 2,700,000 243,000 276,140 410,690 545,230 679,770 814,320 948,860 1,083,400
26 2,800,000 252,000 281,280 418,320 555,360 692,410 829,450 966,490 1,103,530
27 2,900,000 261,000 286,410 425,950 565,490 705,040 844,580 984,120 1,123,670
28 3,000,000 270,000 291,540 433,580 575,620 717,670 859,710 1,001,750 1,143,800
29 3,100,000 279,000 296,670 441,210 585,760 730,300 874,840 1,019,390 1,163,930
30 3,200,000 288,000 301,800 448,840 595,890 742,930 889,970 1,037,020 1,184,060
2022년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로 본인인증 시 더욱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인증을 원하지 않는 분들은 사이트 접속 후 ‘예상연금 간단계산’이라고 쓰여 있는 초록색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하면 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1. NPS 국민연금 사이트로 이동
    먼저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사이트 메뉴 중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한 다음 ‘내 연금 알아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액 조회
  2. 내연금알아보기 클릭
    내연금알아보기 클릭 ->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 -> 주민번호입력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3. 로그인
    주민번호입력 후 인증서로 로그인하거나, 네이버 또는 카카오톡 금융인증서를 사용하여 로그인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4. 예상 노령연금액 확인
    현재가치 예상연금액과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가치 예상연금액은 물가상승률 고려하지 않은 현재시점으로 산정한 금액이고,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은 물가상승률 고려한 미래가치 예측금액을 말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5. 향후의 소득 및 가입기간을 수정하여 재계산 바로가기
    향후 추정소득과 가입기간을 설정하여 재계산을 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추정소득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추후 받게 될 예상수령액을 알아 보았는데, 연금액은 가입기간동안 납부한 보험료 등에 따라 차등산정됩니다.

그동안 본인이 얼마의 기간동안 납부했고 그 금액은 얼마인지 궁금한 경우가 있을텐데, 이 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전자민원>개인민원>개인로그인>개인서비스 조회>가입내역조회’에서 가능한데, 세부내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개시연령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출생연도가 52년 이전이라면 60세부터 수령할 수 있고, 53년 ~ 56년생이라면 61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65세 이후는 무조건 65세부터 수령가능합니다.
※연금금액은 소득활동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출생연도노령연금분할연금
1952년생 이전60세60세
1953~56년생61세61세
1957~60년생62세62세
1961~64년생63세63세
1965~68년생64세64세
1969년생 이후65세65세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종류

  • 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60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 60~65세)가 된 때에 기본연금액과 부양가족연금액을 합산하여 평생 동안 지급하는 연금입니다.
  • 조기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55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 55~60세) 이상인 사람이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 본인이 신청하면 60세(노령연금 수급개시연령) 전이라도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 분할연금 : 분할연금은 이혼한 자가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나누어 지급받는 연금입니다. 이 경우 혼인기간 중 국민연금보험료 납부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조기노령연금 및 연기제도

노령연금은 앞서 안내한 내용과 같이 가입기간 외에 연금수령나이 조건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조건 충족 상태에서 소득활동이 끊기거나 유지되는 등 경제상황에 따라 최대 5년까지 앞당기거나 미룰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정상 지급비율을 100으로 봤을 때 변동되는 기간에 따라 금액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구분1년2년3년4년5년
조기수령-6%-12%-18%-24%-30%
연기수령+7.2%+14.4%+21.6%+28.8%+36%
수령시기에 따른 연금지급액

국민연금 환급금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가 이중 또는 착오로 인해 내야 할 금액보다 많으면 가입자에게 돌려주도록 되어있습니다.

단, 신청을 해야 하는데 환급금이 발생한지 5년이 지나게 되면 권리가 소멸되기에, 그전에 찾아야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에서 조회가능하고, 환급금이 있다면 계좌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환급금도 한번에 조회해볼 수 있으니 놓치고 있던 돈이 있는지 늦기 전에 꼭 확인해보세요.

국민연금 환급금

국민연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국민연금을 안 내면 어떻게 되나요?
A. 국민연금 가입대상자가 연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연체금이 부과됩니다.

Q. 국민연금 납부기간이 10년 미만이면 어떻게 되나요?
A.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이상 연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수령나이가 됐음에도 가입기간이 모자라다면 ‘임의계속가입’으로 가입기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Q. 이혼 시 어떻게 하나요?
A.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라면 이 기간 동안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 동일하게 연금을 분할하여 지급합니다. 다만, 2016년 12월 30일 이후에 수급권을 취득했다면, 당사자간의 합의나 재판 등으로 비율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Q. 국민연금을 미리 받고 싶은데요?
A. 소득이 없거나 월평균 소득이 2,438,69원 이하라면 국민연금 수령나이 보다 5년 빠르게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만큼 수령액이 감액됩니다.

Q. 사업장가입자인데 국민연금 탈퇴할 수 없나요?
A.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1인 이상 사업장은 국민연금을 포함한 4대 보험에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Q. 물가 상승 시 국민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A.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수령액도 올라갑니다.

더 알아보기
통신비미환급금
국세환급금
건강보험환급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