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개발된 전고체 배터리 기술, “K-배터리 위협한다”..경쟁 구도 ‘급변’

댓글 0

BMW, 실차 도로주행 돌입
글로벌 경쟁사도 앞다퉈 가세
K-배터리, 위기감 고조
BMW 전고체 배터리 개발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출처-BMW

독일 완성차 업체 BMW가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실험 차량으로 도로주행을 개시하면서, 차세대 배터리 주도권 경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BMW는 미국 솔리드파워와 공동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를 자사 전기 세단 i7에 탑재해 독일 뮌헨 인근에서 실증 테스트에 돌입했다.

글로벌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들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향해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한국 배터리 산업에도 위기감이 번지고 있다.

BMW, 전고체 배터리 실차 도로에 올리다

BMW 그룹은 2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근교 도로에서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i7 실증 차량을 공개하고 주행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배터리는 미국의 배터리 전문기업 솔리드파워와 공동으로 개발됐으며 양사는 2016년부터 협력을 이어왔다. 2022년 말에는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해 고체전해질 배터리(ASSB)의 기술 고도화에 나선 바 있다.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출처-BMW

i7 테스트 차량에는 BMW가 사용하는 5세대 전기차 플랫폼 기반 프리즘 셀 모듈 구조와 새로운 통합 모듈 설계가 적용됐다. 특히 황화물(Sulfide) 기반 고체전해질이 도입돼,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에서 기존 배터리 대비 우수한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BMW는 이 실증 주행을 통해 고체전해질 배터리의 실제 환경 내 성능과 내구성을 집중 평가할 계획이다. 테스트에서는 셀 팽창 관리, 압력 제어, 온도 조건 등 고체전해질 특유의 과제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BMW는 독일 파르스도르프에 위치한 배터리셀 생산 컴피턴스 센터(CMCC)를 통해 파일럿 생산도 진행 중이다.

BMW 전고체 배터리 개발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출처-BMW

BMW 셀 및 모듈 부문 부사장 마틴 슈스터는 “이번 테스트는 BMW의 기술 개방적 접근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라고 밝히며, 향후 다양한 배터리 기술에 대한 실증을 이어갈 계획임을 시사했다.

솔리드파워 존 밴 스코터 CEO는 “실제 고체전해질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도로를 달리는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경쟁 가세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

전고체 배터리를 둘러싼 글로벌 기술 경쟁은 이미 치열한 상황이다.

BMW 전고체 배터리 개발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출처-BMW

BMW의 도로주행 테스트에 앞서,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 2월 미국 팩토리얼 에너지와 공동 개발한 리튬-메탈 기반 전고체 배터리를 EQS 차량에 탑재하고 도로 테스트를 시작했다. 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대비 40% 가볍고, 주행거리 목표치는 965km 이상으로 제시됐다.

일본과 중국 업체들도 속도를 내고 있다. BYD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예고했으며, CATL도 같은 해 소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토요타, 혼다, 닛산은 물론, 스텔란티스와 현대차 역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기술 개발을 본격화하며 배터리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기술 주도권 향방, 새로운 국면으로

BMW의 이번 도로주행 돌입은 단순한 실험을 넘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실질적인 첫걸음을 내딛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
BMW i7 전고체 배터리 테스트/출처-BMW

BMW는 실차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화 가능성과 기술 적용 범위를 정밀히 분석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고체전해질 특성상 요구되는 새로운 제어 기술 확보도 병행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 향상, 무게 절감, 주행거리 증가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능가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BMW뿐 아니라 메르세데스-벤츠, BYD, CATL 등 경쟁사들의 가세로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 같은 변화는 한국 배터리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세계적인 기술 흐름이 급변하는 가운데, K-배터리가 글로벌 경쟁에서 기술적 우위를 지켜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원미닛포스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함께 보면 좋은 글

푸조 신형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제원

푸조 3008 풀체인지, 디자인·성능 업그레이드… 4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SUV로 가격 승부수

더보기
기아 EV4 해치백 제원

기아 전기차 EV4, 624km 주행 해치백으로 유럽 시장 출격… 폭스바겐과 맞붙나

더보기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 공개

롤스로이스·벤틀리 넘본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SV 블랙’ 635마력 올블랙 괴물 SUV 공개

더보기

2025 포르쉐 911 라인업 확장… 카레라 4S·타르가·카브리올레 신형 동시 공개

더보기
페라리 아말피 성능

페라리 슈퍼카 ‘아말피’ 공개… 640마력 V8 GT 쿠페, 람보르기니 맞수 등장

더보기
BYD 씰 국내 출시

BYD 2025 ‘씰’ 한국 출시… 530마력 고성능 전기 세단, 파격가로 승부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