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만에 드러난 문제
테슬라 로보택시, 신뢰 흔들리다
이용자 영상 속 오류 줄줄이 노출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지난 6월 22일 정식 운행을 시작한 테슬라의 자율주행택시 ‘로보택시’가 운행 개시 단 3일 만에 10건 이상의 주행 오류를 노출하며 논란에 휩싸였다.
차량의 급정지, 차선 침범, 속도 위반 등의 문제 장면이 잇따라 공개되면서 이용자들의 우려가 확산됐고, 주가는 급등 하루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작과 동시에 드러난 로보택시의 결함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지난 6월 22일, 오스틴의 제한된 구역에서 모델 Y 차량 10대를 투입해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SNS 인플루언서들을 초청해 첫 운행에 나선 지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일부 차량이 신호 없는 교차로에서 방향을 잃거나 중앙선을 넘어 반대편 차로에 진입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투자자 소이어 메릿과 팟캐스트 진행자 롭 모어러가 각각 X(옛 트위터)에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차량은 좌회전 차선을 잘못 인식해 잘못된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제한 속도 시속 48km를 초과해 56킬km까지 가속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또한, 정차 명령을 내렸을 때 도로 한복판에서 멈춰서는 장면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영상이 퍼지며 논란은 확산됐다. 로보택시 발표 직후인 6월 23일 테슬라 주가는 8.23% 상승했으나, 이어진 결함 논란으로 다시 출시 직전 수준인 327달러(한화 약 44만 원)로 하락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쏟아진 문제 영상
6월 25일,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는 ‘테슬라 로보택시 사고 영상 리스트’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용자는 오스틴 지역에서 로보택시가 주행 중 겪은 다양한 오류 영상을 11건 이상 수집해 공유했다.
해당 영상들에는 차량이 반대 차선에 진입하거나 정차 금지 구역에서 멈추고, 속도 제한을 위반하는 모습 등이 담겨 있었다.
경찰차 인근에서 급제동하거나 교차로 한가운데에서 승객이 하차하는 장면도 포함돼 있었다. 로이터, 더버지 등 주요 외신들도 이를 인용 보도하며 “서비스 시작 3일 만에 발생한 문제로는 지나치게 많다”고 우려를 표했다.
공식적인 사고 접수는 없었지만, 단 10~20대 차량이 비교적 단순한 구역에서 운행 중 다수의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향후 대규모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 의견 엇갈려…기술 경쟁 구도 뚜렷
전문가들의 평가는 갈렸다. 필립 쿠프만 카네기멜런대 교수는 “이처럼 다양한 주행 오류 영상이 단기간에 쏟아진 사례는 드물다”며 심각성을 지적했다.
반면 알랭 콘하우저 프린스턴대 교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차량이 적절히 대응했고, 인간 운전자보다 나은 판단을 내린 경우도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차량이 주변 흐름보다 지나치게 느리게 주행하는 것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테슬라 로보택시는 인공지능 기반 비전 시스템만을 사용해 주행하며 경쟁사들이 활용하는 레이더나 라이다, 정밀 지도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비용 절감의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교통 상황이나 지도 정보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대응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구글 자회사 웨이모는 애리조나주 피닉스를 시작으로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등으로 운영 지역을 확대하며 지난 5월 누적 유료 탑승 1000만 건을 돌파했다.
현재는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인간 감시자 없이 유료 승객을 태우는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포레스터 리서치의 애널리스트 폴 밀러는 6월 24일 CNBC 인터뷰에서 “웨이모와 비교해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초기 완성도에서 뒤처진다”고 평가했다.
골드만삭스의 마크 델라니 애널리스트도 “테슬라 로보택시는 제한된 지역에서만 운행 중이며 차량 내에 직원이 동승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확장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범 운행 초기부터 이어진 주행 오류와 그에 따른 주가 급락은,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이 여전히 많은 검증 단계를 필요로 함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소비자의 신뢰 확보와 실제 도로 환경에서의 안전성이 자율주행 상용화의 핵심 과제임이 명확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