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저·아반떼가 다시 뜬다”.. 가성비 앞세운 세단의 역습, 대체 무슨 일이?

댓글 0

SUV 독주 꺾고
세단이 다시 뜬다
가성비·전기차가 판도 바꿔
1분기 세단 판매량
그랜저/출처-현대차

2025년 1분기, 그동안 SUV에 밀려 존재감을 잃었던 세단이 반격에 나섰다.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로 뛰어오른 가운데, 그 중심엔 ‘가성비’와 ‘전기차’가 있었다.

“SUV는 비싸다”… 돌아선 소비자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3월 국내 세단 판매량은 총 10만 725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SUV는 1.6% 줄어든 20만 2447대에 그쳤다. 수년 간 이어진 SUV 강세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아반떼/출처-현대차

소비자들의 선택은 분명했다. 경제 침체와 물가 부담 속에서 SUV보다 저렴하면서 연료 효율까지 뛰어난 세단이 다시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특히 현대자동차의 그랜저, 아반떼, 쏘나타는 판매 상위 10위권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판매량은 각각 그랜저 1만 9031대(4위), 아반떼 1만 8909대(5위), 쏘나타 1만 4477대(9위)로, 전년 대비 17.7%, 56.2%, 81.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들 모델의 가격은 각각 아반떼 1964만 원, 쏘나타 2788만 원, 그랜저 3798만 원이다. 같은 브랜드의 SUV 쏘렌토(3550만~4631만 원)보다 한 체급 낮지만 가격 경쟁력은 뚜렷하다.

쏘나타/출처-현대차

수입차도 눈 돌린 ‘실속형 세단’

국산차 시장만의 흐름은 아니었다. 수입차 시장에서도 가격대가 비교적 낮은 세단들이 인기를 끌었다.

E클래스/출처-벤츠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1분기 가장 많이 팔린 수입 세단은 메르세데스-벤츠 ‘E200’으로 총 3457대가 팔렸다.

테슬라의 모델 3도 극적인 반전을 보여줬다. 불과 1년 전 15대에 그쳤던 판매량이 올해 1분기에는 2345대로 뛰어올랐다. 테슬라가 지난해 4월 중국산 모델 3를 들여오며 가격을 약 1000만 원 낮춘 것이 주효했다.

합리적인 가격의 수입 세단들이 주목받으면서, 고가 수입 모델 중심이던 시장 구조에도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EV4와 씰, 전기 세단의 반격

세단 부활의 또 다른 축은 전기차였다. 올해 3월 기아가 선보인 전기 세단 EV4는 브랜드 최초의 전기 세단이다. 적재 공간 490리터와 1회 충전 주행거리 533km(롱 레인지 기준)를 내세우며 실용성과 성능 모두를 강조했다.

EV4/출처-기아

중국의 BYD 역시 중형 전기 세단 ‘씰’을 통해 국내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씰은 테슬라 모델 3보다 약 450만 원 저렴한 4750만 원부터 시작되며 가성비를 무기로 내세웠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특유의 구조적 장점—내연기관 대비 30% 적은 부품 수—이 세단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가성비와 실용성, 여기에 전기차의 기술력까지 더해진 세단의 역습은, 한동안 SUV에 밀려났던 시장의 구도를 되돌려놓고 있다.

Copyright ⓒ 원미닛포스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함께 보면 좋은 글

562km 가는 현대 더 뉴 아이오닉6, 드디어 출시.. 테슬라·BMW 어쩌나

더보기

벤틀리도 페라리도 아닌 슈퍼카… 양왕 U9 등장에 고급차 업계 긴장

더보기

람보르기니·페라리 긴장할 전기 슈퍼카… GM ‘캘리포니아 콜벳 콘셉트’ 공개

더보기

국내 전기차 판도 흔드는 르노코리아… 2026년 오로라2 출시 소식에 현대차 긴장

더보기

스포티지 예산으로 7인승? 스타게이저, SUV 틈새 파고든 실속 미니밴

더보기

하이브리드가 바꾼 판도… 기아 2026 쏘렌토, 중형 SUV 독주하는 이유

더보기
Exit mobile version